본문 바로가기
대학공부/데이터과학

군집화 알고리즘과 군집에 대한 평가

by 진진리 2024. 5. 13.
728x90

1. K-평균 군집화와 퍼지 군집화

  • K-Means Clustering
    • 사전에 군집의 개수 K를 결정
    • 각 군집에는 중심이 존재하게 되는데, 중심과 군집 내 데이터 거리 차의 제곱 합을 최소로 하는 최적 군집을 찾음
    • 일단 중심 K개를 찍고 반복
  • Python에서의 K-평균 군집화
# 알고리즘 수행을 위해 필요한 라이브러리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import pandas as pd
from sklearn.cluster import KMeans

plt.figure(figsize = (10, 5))

# K-means Clustering의 실제
df = pd.read_csv('menu.csv', engine = 'python')

df_data = df[['가격', '판매량']] # 군집화하기 위해 사용할 데이터
km = KMeans(n_clusters = 4, random_state = 0)
km.fit(df_data)
result = km.predict(df_data)

# result 출력
array([0, 0, 0, 2, 2, 1, 1, 3, 0, 2, 0, 3, 3, 2, 3, 2, 3, 2, 1, 3, 2, 1,
       0, 0], dtype=int32)
       
# 군집의 중심 위치를 출력
km.cluster_centers_
"""
array([[ 6471.42857143, 43697.85714286],
       [ 6275.        , 73505.5       ],
       [ 6085.71428571, 55502.57142857],
       [ 5316.66666667, 82752.83333333]])
"""

# 할당 결과를 DataFrame에 추가
df['CLUSTER'] = result

# scatterplot 형식으로 시각화
plt.scatter(df['가격'], df['판매량'], c = df['CLUSTER'])

plt.show

 

 

가격과 판매량의 scale의 차이로 인해 가격 속성이 등한시 됨 -> 스케일링 필요

 

EXERCISE 1

  • 1번
    • 중심점 C에 속하는 군집: C, F, G -> 평균: (7, 15)
    • 중심점 E에 속하는 군집: A, B, D, E, H -> 평균: (5, 8)
  • 2번
    • 중심점 (7, 15)에 속하는 군집: C, F, G, H -> 평균: (7, 14)
    • 중심점 (5, 8)에 속하는 군집: A, B, D, E -> 평균: (5, 8)

중심점: (7, 14), (5, 8)

일반적으로 적은 연산으로 빠르다는 특징

 

군집 개수 K를 정하는 방법

  • Elbow Method
    • 가로축을 K, 세로축을 오차로 하는 그래프에서 기울기가 완만해지는 지점을 최적의 K로 선택
    • 팔꿈치에 해당하는 점

K = 3

 

각각의 데이터가 한 군집에 할당되어야 할까?

  • Fuzzy Clustering(퍼지 군집화)
    • K-평균 군집화 등 다수의 군집화 방법론은 단일 데이터에 대해 반드시 하나의 군집만 할당한다는 특성을 지님
    • 각각의 데이터마다 특정 군집에 속하게 될 가중치를 배정하는 방식
  • FCM 알고리즘(Fuzzy C-Means Algorithm)
    • 대표적인 퍼지 군집화
    • 사전에 정의된 퍼지 승수 p와 군집 수 K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절차로 군집화를 수행
      1. 개별 데이터에 대해 임의로 각 군집에 속하게 될 가중치를 부여
      2. 부여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각 군집의 중심이 어디인지 계산
      3. 군집 별 중심에 부합하게끔 개별 데이터에 대한 가중치 재계산
      4. 재계산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새로운 군집 별 중심 계산
      5. 가중치가 일정한 값에 수렴할 때까지 가중치 재계산과 군집 중심 재계산 반복
    • 개별 데이터들의 가중치를 알 때 군집의 중심을 계산하는 방법은?
      • 퍼지 승수 p: 1~∞, 보통 2 -> 가중치마다 (가중치)^p

 

군집 A 중심 (x1, x2)

x1 = (-300 * 0.04 - 200 * 0.09 + 200 * 0.25 + 100 * 0.16) / (0.04 + 0.09 + 0.25 + 0.16) = 19.44

 

2. 밀도 기반 군집화와 DBSCAN

  • K-평균의 한계

 

  • 여러 가지 군집화 방법론
    1. K-means
      • 군집의 수를 정해 놓고, 각 군집의 중심에 데이터가 최대한 몰리게끔 군집화
      • 원형으로 몰려 있는 데이터가 아닌 경우 부적절하다는 단점
    2. 밀도 기반 군집
      • 같은 군집에 속한 데이터들은 끼리끼리 밀도 있게 모여 있을 것이라 가정
      • Density-Based Spatial Clustering of Applications with Noise (DBSCAN)
    3. 계층적 군집화
      • 유사도가 높은 개체끼리 묶고, 그 군집을 다시 다른 개체와 묶는 과정을 반복
      • Dendrogram을 통해 군집화 결과를 시각화할 수 있음

 

  • DBSCAN
    • 원의 반지름과 원 안에 포함될 최소 점 개수를 사전에 지정
    • 최조 개수보다 더 많은 점이 포함되면 원으로 점들을 묶음
    • 만들어진 원들을 하나로 이어 최종 군집을 결정
    • 군집에 포함되지 않은 점을 Noise(이상치)라고 함

데이터를 중심으로 원을 그림, 노란색 원에 있는 점들이 하나의 군집

  • Python과 DBSCAN
# 군집화 및 시각화를 위한 라이브러리 불러오기
import pandas as pd
from sklearn.cluster import DBSCAN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 csv 파일을 불러와 데이터프레임에 저장
df = pd.read_csv('housing.csv')
house_position = df[['x', 'y']]

# 모수 결정 및 DBSCAN 군집화 수행
db = DBSCAN(eps = 10, min_samples = 3)
cluster_pred = db.fit_predict(house_position)

# 원본 데이터가 어떤 군집에 속하게 되었는지 확인
df['CLUSTER'] = cluster_pred

# 군집화 결과 시각화
x = house_position['x']
y = house_position['y']
plt.scatter(x, y, c = cluster_pred)

특징: 보라색은 noise, 결과가 나와야만 군집의 개수를 알 수 있음

 

  • Hierarchical DBSCAN
    • 계층적 차원에서 DBSCAN을 수행함으로써 종전 방법론의 문제점을 개선
    • 반경에 해당하는 epsilon 값을 설정하지 않아도 군집화가 가능
    • 군집간 밀도 차로 인해 군집화가 잘못된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문제를 해결

 

EXERCISE 2

 

ㄱ. O -> (B)에서 원이 작아지기 때문에 다른 군집에 속하게 될 수 있음

ㄴ. O -> (C)에서 원이 커지고 min_samples의 개수가 적어지므로 군집에 더 많은 데이터가 속할 수 있음

ㄷ. X -> (A)에서 min_samples의 개수가 늘어나므로 노이즈로 분류되었다면 마찬가지로 노이즈임

 

3. Dendrogram과 계층적 군집화

  • Hierarchical Clustering(계층적 군집화)
    • 데이터로 주어진 모든 개체끼리의 유사도를 계산
    • 유사도가 가장 높은 두 개체를 하나의 군집으로 묶음
    • 같은 과정을 반복해 Tree 형태로 최종 군집화 수행

  • 군집간 유사도 계산 방법
    1. Sigle Linkage: 서로 다른 그룹의 점 사이 거리의 최솟값
    2. Complete Linkage: 서로 다른 그룹의 점 사이 거리의 최댓값
    3. Average Linkage: 서로 다른 그룹의 점 사이 거리의 평균값
    4. Centroid Linkage: 각 그룹의 중심을 계산하여 중심간 거리
    5. Ward Linakage: 그룹끼리 합칠 시 늘어날 오차 제곱 합(SSE)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군집화를 수행

 

  • 계층적 군집화, Python으로
# 계층적 군집화 및 시각화를 위한 라이브러리 불러오기
import pandas as pd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import scipy.cluster.hierarchy
from scipy.cluster.hierarchy import linkage
from scipy.cluster.hierarchy import dendrogram

# 주택 데이터 불러오기 및 계층적 군집화 수행
df = pd.read_csv('housing.csv')
house_position = df[['x', 'y']]

linked = linkage(house_position, 'single')
dendrogram(linked, orientation = 'top')

 

빨간 선을 기준으로 군집화하는 경우: (12), (16), (26, 2, 23, ..., 21), (4), (13, 24, 1, ..., 25)

 

그래서 어떤 방법이 제일인가?

각각의 방법이 장단점이 있으므로 데이터셋 특징에 따라 선택해야 함

 

4. 군집화 결과에 대한 평가

  • 실루엣 기법(Silhouette Analysis)
    • 군집화를 모두 마친 이후, 모든 데이터에 대하여 실루엣 계수를 계산 후 도식화
    • 실루엣 계수의 범위는 -1 이상 1 이하이나 음수인 경우는 드묾
    • 실루엣 계수의 값이 클수록 군집화가 더 잘 이루어진 것임

각 군집에 속한 데이터에 대한 실루엣 계수를 내림차순으로 나열함

 

  • 실루엣 계수 계산 방법
    • A: 최근접 군집과의 평균 거리(다른 군집에 해당하는 모든 데이터들과의 거리 평균 중 가장 작은 값)
    • B: 할당된 군집과의 평균 거리(같은 군집에 해당하는 모든 데이터들과의 거리 평균)
    • 실루엣 계수: (A - B) / max(A, B)

 

  • Hopkins Statistic
    • 군집화 수행 이전, 해당 데이터셋이 군집화하기에 적절한지 판단하기 위한 지표
    • 값의 범위: 0 이상 1 이하 (1에 가까울 수록 군집화하기에 좋음)
      1. 주어진 데이터셋에서 N개의 표본을 추출
      2. (전체 데이터셋 범위에서) 균등분포에서 무작위 N개의 표본을 추출
      3. 모든 표본에 대해 최근접 데이터와 거리 계산
      4. 아래의 식이 홉킨스 통계량
    • H = (균등분포 표본 거리 합) / {(균등분포 표본 거리 합) + (데이터셋 표본 거리 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