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에서 설정한 서브넷을 가지고 로드밸런서와 오토스케일링 그룹 실습을 해보고자 한다.
프라이빗 서브넷 내에 오토스케일링 그룹을 통해 EC2를 생성하고 로드밸런서를 생성한 뒤 로드밸런서를 통해 EC2에 접근하고자 한다.
1. 로드밸런서 생성
1-1. 대상 그룹 생성
- 사용하는 프로토콜, 포트, 상태 검사 경로를 입력
- 인스턴스 등록은 하지 않고 넘어갑니다.
1-2. 로드밸런서 생성
애플리케이션 로드밸런서, 인터넷 경계 선택
가용 영역은 퍼블릭 서브넷, 연결할 ec2가 있는 서브넷 선택
만들어 둔 대상 그룹 선택
2. EC2 생성
ec2를 생성한 후 서비스에 맞게 여러 패키지들을 설치하는 등 준비를 한다.
3. AMI 생성
위 ec2에 대한 이미지를 만든다.
4. 시작 템플릿 생성
Auto scaling group 생성 시 필요한 시작 템플릿을 설정한다.
앞에서 AMI을 생성했다면 설정해준다.
5. Auto Scaling Group 생성
6. 대상 그룹에 추가
ASG에 따라 인스턴스 1개가 새로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인스턴스를 대상 그룹에 추가한다.
등록한 ec2 상태가 Healthy인 것을 볼 수 있다.
7. 확인
로드밸런서 dns로 잘 접속되는 것을 확인 가능하다.
참고로 프라이빗 서브넷 내의 ec2에 접속할 때는 VPC > 엔드포인트를 사용하였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ECS CD 적용 (0) | 2025.02.26 |
---|---|
AWS 로드밸런서와 https (0) | 2025.02.26 |
AWS ECS (0) | 2025.02.26 |
AWS VPC와 서브넷 (0) | 2025.02.24 |
AWS IAM 계정으로 배포하기 (0) | 2024.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