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비아에서 구매해둔 도메인이 있어서 해당 도메인을 가지고 진행한다.
1. 탄력적 IP 할당
EC2 > 탄력적 IP에 들어가 탄력적 IP를 하나 할당받는다.
2. 호스팅 영역 생성
Route 53에서 호스팅 영역을 생성한다.
'레코드 생성'을 누른 후 값에 할당 받은 탄력적 IP를 입력한다.
3. 가비아 등록
3-1. 네임서버 등록
레코드에 있는 NS 유형의 값을 가비아 도메인의 1~4차 네임서버에 입력해준다.
이때 아래 값에 있는 마지막 .을 제외하고 입력해야 한다.
3-2. 탄력적 IP 등록
가비아의 도메인 연결 설정에 들어가 DNS 레코드를 탄력적 IP로 수정한다.
4. Certificate Manager 인증서
도메인을 가지고 퍼블릭 인증서를 요청한다.
인증서가 만들어지면 ID를 눌러 들어간 후 route 53 레코드 생성을 눌러 진행해준다.
시간이 지나면 상태가 발급됨으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 로드밸런서 수정
기존에 만들었던 로드밸런서에 리스너를 추가한다.
HTTPS를 위한 443 포트를 추가하고 앞에서 만든 인증서를 설정한다.
6. 호스팅 영역 수정
Route 53에서 로드밸런서에 대한 별칭을 레코드에 추가한다.
이때 기존의 탄력적 ip에 대한 A 레코드를 삭제한다.
7. 확인
대상 그룹 확인 후 등록한 도메인에 https로 접속해 확인해본다.
로드밸런서의 리스너를 통해 http -> https로 리다이렉트할 수도 있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T gateway 대신 NAT instance 사용하기 (0) | 2025.03.03 |
---|---|
ECS CD 적용 (0) | 2025.02.26 |
AWS ECS (0) | 2025.02.26 |
AWS 로드밸런서와 오토스케일링 그룹 (0) | 2025.02.24 |
AWS VPC와 서브넷 (0)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