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배포 서버를 1개 사용하고 있었지만 최근 ECS로 배포 방법을 변경함에 따라 여러 컨테이너가 같은 DB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사실 기존에도 개발용 서버를 배포하였기 때문에 상황은 동일하다...) 서버가 늘어날 수록 같은 데이터를 수정하는 스케줄러가 동시에 여러 개 시작되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기 위해 분산 락을 적용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특정 쿼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동시성 문제를 해결한다기보다 매일 정해진 스케줄러로 인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므로 특정 서버 1개만 스케줄러를 실행해야 하는 상황이다. 즉 네임드 락을 적용하고자 한다. Spring Data JPA를 사용하는 방법과 Redis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기존에 Redis도 ECS 서비스로..